지난달 12일, 부산에 사는 야구팬 구슬(20, 여) 씨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기사 검색을 하다가 소스라치게 놀랐다.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선수가 교통사고를 당해 더 이상 선수 생활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속보를 봤기 때문이다. 구 씨는 황급히 자신의 SNS 계정에 접속했다. 그곳의 타임라인 (timeline: 자신이 올린 글과 다른 이용자들의 글이 시간 순서대로 올라오는 SNS 창) 역시 해당 기사의 링크와 선수를 걱정하는 글로 가득 차있었다. 구 씨는 절망에 빠졌다. 무명 시절과 성적이 안 좋았던 시절을 거쳐 늦은 나이임에도 이제 막 꽃을 피우던 선수였기 때문이다.
단독이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
우리는 심심치 않게 여러 미디어에서 속보, 단독, 혹은 특종이라는 단어를 접한다. 이 단어들은 아무 뉴스거리에나 붙을 수 없으며 붙었을 때 뉴스의 가치를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. 이 중 ‘단독’이란 단어는 한 언론사 혹은 한 기자가 특정 사건을 ‘유일’하게 ‘최초’로 보도하는 것을 의미한다.
지난달 12일 구 씨가 확인했던 기사는 제목 맨 앞에 ‘단독’ 이라는 글자를 달고 나왔지만, 기사의 세부적인 내용은 사실이 아니었다. 그 기사가 나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아 SNS를 이용하는 많은 스포츠 기자들이 ‘그 선수가 교통사고를 당해 부상을 입은 것은 사실이지만, 제일 처음 보도된 것처럼 부상 정도가 심하지는 않고 가벼운 찰과상 정도’라는 글을 올려 팬들을 안심시켰다. 그 뿐만 아니라 해당 구단에서는 ‘완치를 위해 선수를 1군 엔트리에서 제외했고, 재등록은 10일 후에 가능하기 때문에 그 때까지 휴식을 취하며 치료를 받으면 정상적으로 다시 1군에서 운동할 수 있다’라는 내용의 보도 자료를 냈다. 하지만 이미 단독보도기사를 토대로 작성된 수많은 기사들이 곳곳에 퍼진 이후였다.
구 씨는 “기사를 처음 접했을 땐 정말 청천벽력 같았다. 하지만 곧바로 그 기사가 사실이 아니라는 말들이 들려오자 정말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”며 “단순한 이야기도 아니고, 프로운동선수의 선수생명이 달려있고 그 전에 생명과 관련된 것인데 단독보도보다는 사실 확인이 우선인 것 아니냐”고 역설했다. 사실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않고 내보내진 단독보도기사는 구 씨를 비롯한 많은 야구팬들의 감정을 들었다 놨다.
독자를 ‘낚는’ 신변잡기 기사
회사에서 편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던 배효정(29, 여, 웹디자이너) 씨 또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훑던 중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. 자신이 몇 년 째 좋아하고 있는 아이돌 그룹의 한 멤버가 데뷔 이래 지금까지 여동생의 존재를 숨겨왔다고 고백했다는 기사를 봤기 때문이다. 배 씨는 빠르게 그 기사를 클릭했으나 기사 끝머리에는 익숙한 문장이 있었다. ‘아이돌 가수 A씨의 사연은 화요일 밤 11시 B프로그램에서 공개된다.’ 배 씨는 꿀 같은 휴식 시간을 투자해 본 기사의 제목에 당한 것만 같아 두 배로 언짢아졌다.
배 씨는 속된 말로 ‘낚인’ 기분이라고 했다. “방송 프로그램 혹은 연예인의 홍보를 위해 팬들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까지 이용당하는 것 같다. 뜨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불쾌감까지 줘야하는 지 의문이다. 흥미로울 것 같아 방송 날짜만을 기다리던 프로그램의 내용마저 스포일러 당한 기분”이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못했다. 배 씨가 쉬는 시간에 봤던 기사는 수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클릭 속에 어느새 인기 검색어 1위가 돼있었다.
인터넷 언론사와 인턴기자, '빛 좋은 개살구'?
위의 두 사례에서 구 씨와 배 씨가 본 각각의 기사는 모두 낯선 이름의 인터넷 언론사의 것으로 밝혀졌다. 최근 여러 가지 매체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수많은 언론사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. 그들은 언론사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고, 그들이 살아남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가장 큰 조건은 네티즌들의 수많은 ‘클릭수’다.
인터넷 언론의 직접적인 이용자인 다수의 네티즌들은 ‘신속함이 매력이지만 그것이 매력의 전부인 계륵 같은 존재’ 로 인터넷 언론을 인식하고 있었다. 수 년 후에는 기성 매체에서 느낄 수 없는 매력을 느끼게 해주는 또 하나의 매체로 인터넷 언론이 자리 잡아 있기를 바란다.